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pISSN : 2005-3231

초등상담연구, Vol.23 no.1 (2024)
pp.105~123

DOI : 10.28972/kjec.2024.23.1.105

초등학생의 집행기능곤란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미디어기기 중독의 차이 분석 : 교사관계와 그릿, 부모 Type A 행동유형의 영향력 검증

홍기은

(선재아동가족 상담연구소 )

변외진

(영진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허무녕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

장효은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 별로 미디어기기 중독의 차이를 확인하며, 잠재프로파일의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인 교사관계와 그릿, 부모의 Type A 행동유형의 영향력을 확인하여 잠재프로파일별 개입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중 13차년도의 조사에 참여한 부모와 아동 1289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데이터는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 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집행기능곤란은 3개 잠 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은 ‘집행기능곤란 저수준 집단’과 ‘집행기능곤란 중수준 집단’, ‘집행기능곤란 고수준 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은 집행기능곤란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행기능곤란이 높은 집단에 속 할수록 미디어기기 중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교사관 계와 그릿, 부모의 Type A 행동유형은 잠재프로파일의 분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그 영향력의 양상은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집행기능 곤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미디어기기 중독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서 집행기능곤란과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3가지 예측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함을 통해 집행기 능곤란의 수준별로 상이한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Differences in Media device addiction by Latent Profi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 Analyzing the effect of Predictors

Gieun Hong

Weijin Byeon

Moonyung Heo

Hyoeun Jang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latent profi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o identify differences in media device addiction by the profile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teacher, GRIT and parents’ type A behavior as the predictors.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1289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participated in 13th wave of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ML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LPA, three latent profiles were found, called ‘low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group’, ‘mid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group’ and ‘high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group’.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dia device addiction by these latent profiles. ‘High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group’ showed the highest media device addiction and ‘low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group’ showed the lowest. Third,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teacher, GRIT, parents’ type A behavior were significant as the predictors. Our findings provide the new approach to help children to get lower media device addiction and to reduce thei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Download PDF list